2013년 12월 5일 목요일

COCOMO (이)란?


가.개념

-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모듈과 서브시스템의 비용합계를 계산하여 시스템의 비용을 산정하는 방식(개발단계만 적용)

나.모델의 유형 (기본모델:LOC, 중간모델:LOC+비용승수, 고급모델:LOC+개발단계별 비용승수)

1) Basic COCOMO(고정단일값 모형, Product 특성에 기반을 둔 기초적인 산정방식, LOC 기반),

2) Intermediate COCOMO(제품속성, HW속성, 인적속성, 프로젝트 속성에 따라 15개의 특성치 적용방식),

3) Detailed COCOMO(대형 시스템의 경우 서브시스템이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고 있어 각 모듈 별, 서브시스템별로

비용을 별도 산정하여 합산하는 방식을 적용). 3계층 비용 산정이 가능(모듈레벨, 서브시스템레벨, 시스템레벨),

개발단계별(생명주기)로 비용 산정방식을 달리할 수가 있음

2.

가.COCOMO 모델의 프로젝트 유형

1)Organic Mode : Scientific, Business 등의 소프트웨어로서 50 KDSI 이하 크기

2)Semidetached Mode : 컴파일러,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개발지원 도구 개발용 프로젝트로 300 KDSI 이하 크기

3)Embedded Mode : OS, DBMS, 통신모니터와 같이 300 KDSI 이상의 대형 프로젝트

나.장점 : 실험적 비용 추정, 이해쉬움

다.문제점

- 최근의 SW 개발방식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함(OOP, CBD, 4GL등)

- SW 제품을 하나의 개체로 보고 승수들을 전체에 적용,

- 실제 대부분의 대형 시스템은 서로 상이한 서브 시스템으로 구성(일부분은 Organic Mode이고, 다른 부분은

Embedded Mode인 경우가 존재함)

3. COCOMO 2

가.개념

- SW개발방식/생명주기 반영하여 COCOMO모델에 비해 개발단계에 따른 상세한 견적이 가능하도록 세단계 모델

제공하는 비용산정 모델

나.기존 COCOMO 문제점

- SW 제품을 하나의 개체로 보고 승수들을 전체에 적용, 실제 대부분의 대형시스템은 서로 상이한 서브시스템으로 구성

4.

가.각 단계별 측정방법 (프로토타입:응용점수, 초기설계:기능점수, 초기설계이휴:LOC)

Composition Application , Early Design , Post Architecture , Reuse

나.COCOMO II와 FP간의 비교

5.

가.활용분야

나.고려사항 : 각 단계별 서로다른 비용산정기법 적용으로 비용산정의 복잡성이 있고, 고객이 COCOMO II 이해가 완벽하지

않아 본수 방식과 동시에 제공함, 기업내 비용산정을 위한 표준프로세스 수립 및 적용을 통해 일관적, 효율적

비용산정 산출이 되도록 노력 필요함

*Basic;스텝수계산/Intermediate;확장/Detailed;특성고려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