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출처] http://blog.naver.com/c7h4a/130106247085
1. SDLC (Software Development Life) 개념
가. SDLC 정의
- 소프트웨어의 개발 타당성 조사, 정의과정, 개발과정, 유지보수 과정, 폐기과정까지 전 과정을 하나의 주기로 보고, 단계별 공정을 체계화 시켜놓은 것
나. SDLC 필요성
- 소프트웨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소프트웨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 필요
- 효과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표준화된 수행 방법과 절차가 필요
-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획득하는 데에도 일정 수준이상의 생산성을 확보하는 것
다. SDLC 기능
- 프로젝트 비용의 산정 및 프로젝트 개발 계획 수립
- 용어, 산출물 구성등의 표준화 지원
- 개발진행상황 파악 지원 및 프로젝트 관리의 지원
2.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 구성
가. SDLC 단계
- 정의단계 -> 타당성 조사, 요구사항분석, 설계
- 개발단계 -> 개발, 테스트
- 지원단계 -> 유지보수, 폐기
3. SDLC의 대표적 모형
- 폭포수 모형 : 검토/승인을 거쳐 순차적/하향식으로 개발이 진행되는 생명주기 모델
- 프로토타입 모형 : 핵심적인 기능을 먼저 만들어 평가한 후 구현하는 점진적 개발 방법
- 반복 점증적 모형 : 시스템을 여러 번 나누어 릴리스 하는 방법
- RAD 모형
- 나선형 모형 : 사전에 위험분석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수행, 선형순차 모델의 제어와 프로토타이핑의 반복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결합시킨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델
- 4세대 모형
4. SDLC 모형 선정기준
- 프로젝트의 규모와 성격
- 개발에 사용되는 방법과 도구
-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
- 개발과정에서의 통제수단과 소프트웨어 산출물 인도 방식
댓글 없음:
댓글 쓰기